ARTISTS

최서원 CHOI Seo Won

본문

누구의 방해도 받지 않는 
나만의 놀이 공간인 슈필라움에는 
오롯이 내가 즐길 수 있는 
공간 결핍에 대한 고백과 꿈꾸던 바람을 이야기하고 있다.

어린 시절, 
인형 놀이를 통해 책으로 공간을 분할하고 
종이를 오려 책상과 의자, 침대를 만들어 배치해 보며 
나만의 공간에 대한 꿈을 키워 왔다.
언니, 오빠들과 터울이 많았던 늦둥이였기에 
나만의 공간을 갖기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사춘기 소녀 시절, 
친구의 예쁜 방을 보고 돌아오면서 
나만의 공간에 대한 욕구는 커졌고, 
훗날, 내가 꿈꾸던 이상적인 세계를 
꼭 실현해 보리라 생각했다.

작품 속 공간은 
나의 어릴 적 이상을 실현해 보기도 하고 
어린 소녀의 동경과 감성을 기억해 내 위로하기도 했다.

나의 슈필라움 속에 행복한 미래를 상상 속에 넣어 보는 건
온전한 휴식과 함께 치유의 공간이란 역할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익숙한 풍경이 주는 슈필라움을 통해 
온전한 휴식과 
행복한 삶을 기원하는 마음을 보태본다.


▶학력

조형 예술학 박사

동덕여대 일반대학원 회화과 한국화 전공 박사 졸업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민화 전공 석사 졸업


▶개인전 

2024《Spielraum for her》, 안상철 미술관, 양주

2024《색채의 민화》, Keio 백화점 초대전, 日本

2023《TREASURE ISLAMD》, 갤러리 아트리에, 광주

2023《슈필라움》 박사졸업展, 동덕아트 갤러리 A,B홀, 서울

2023 YTN & 에코樂 갤러리 초대전, YTN ART SQUARE, 서울

2022《심쿵 쉐라톤》 展, 그랜드 도쿄베이 호텔, 日本

2022 갤러리 유니즌 초대전, 몬드리안 호텔, 서울


▶단체전

2024《한국의 정물화, 책거리》, 카자흐스탄 국립중앙박물관, 카자흐스탄

2023《겸재를 기리다》, 겸재정선미술관 제1, 2 기획전시실, 서울

2023《장생, 건강을 소망하다》, 허준박물관, 서울

2023《한국 현대 민화》, 말라가 시청, 스페인 

2023《아시아 국제 현대 미술전》, 가와사키 미술관, 日本

2022《책거리 : 우리 책꽂이, 우리 자신》, 벨트뮤지엄(Welt museum Wien), 빈 미술사박물관, 오스트리아

2022 일요신문, 《한국미술 응원 프로젝트》, 인사아트센터, 서울 


▶아트페어

2024 아트樂 페스티벌,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2022 URBAN BREAK, COEX, 서울

2022 아트樂 페스티벌, COEX 스타필드, 서울

2022 국제호텔아트페어, 인터불고 호텔, 대구

2022 아트 페스타, SETEC 3관, 서울

2021 SEOUL ART SHOW, COEX, 서울

▶저서

최서원의 슈필라움, 디자인 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