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STS

이기숙 LEE Kisook

본문

변화에 익숙하지 않은, 그저 성실함으로 살았던 나는, 성인이 될 때쯤

너무나 빠르게 변화하고 내 생각과 다르게 괴리감이 가득해서 먼 하늘처럼 아득했던 이 세상 속에서 나를 지탱해 줄 그래도 변하지 않는‘영원’에 대한 집착을 가지게 되었다.

그것이 아마도 여전히 지속해야 하는 내 삶의 의미를 정당화시켜 주는 듯 했으니까...


‘암각화’는 질긴 인간의 삶이 드러난 선각(線刻) 위에 ‘축적된 시간’을 고스란히 품고 있어 마치 영원을 닮은 듯 나를 매료시키기 충분했다.

암각화에서 보이는 ‘각인된 선(線)’은 깊은 원초적 생명감으로 나에게 다가왔고,

어떤 평론가는 그어진 선이 아닌 각인된 선에 대한 나의 집착을 ‘완벽함의 추구’라 풀었는데 그건 살아온 나의 성향를 살펴보면 굉장히 설득력이 있어 보였다. 다만 먹과 한지의 스밈을 고스란히 받아들인, 동양화를 전공한 나에게 재료의 한계는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했다.


지금의 바탕 작업은 당시 첫 개인전에서 보였던, 암각화와 동굴벽화를 소재로, 여러 겹 두꺼운 한지에 흙을 바르고 젖은 상태에서 긁어 찢겨진 선각을 좀 더 얇게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1992년 호암아트홀에서 보았던 분청사기는 내가 알던 화이트와는 다른, 온기가 가득한 우리의 색으로 다가왔고, 절제되면서도 감각적인 선각은 원초적 생명감으로 보였던 암각화의 그 느낌과 충분히 맞닿아 있었다.


캔버스에 여러 겹의 한지를 붙이고 흙이 얇게 발린 상태에서 순간에 긁힌 ‘선’들은  한지가 한 두 겹이 찢겨 지며 긴 섬유질로 인해 ‘끌림의 선’으로 연출되는데, 이는 최소의 것만을 남기고 떨구기 위한 (이후 보존 상 크랙의 위험을 덜기 위한) 방법인 동시에, 말린 후 수십 번의 채색과 물을 뿌려 아래층의 색을 끌어 올리고 열처리로 고정시키는 작업을 통해 그들이 뭉치거나 흩어지며 어떤 공간을 이루게 된다.  

결국 바탕 작업에서 ‘각인된 선’은 말린 후 수십 번의 채색과 샌딩 작업을 통해 순간의 긁힘이 다시 돋아 오르는데, 자연 속 풍경에서 드러나는 선(線)과 나의 주관적인 감정의 선이 겹쳐 선과 선이, 점과 점이 만나는 자리에는 공간이 열리게 된다. 그리하여 마치 순간이 영원에 닿아있는 듯 나의 아득한 시선으로 살아나는 것이다. 


나는 줄곧 ‘선(線)’, 그러니까 흙이 발라진 젖은 한지 위에 찢겨지는 ‘선’이 가지는 자유로움과 변화에 집착해 왔고, 그러나 그것이 이루는 형상보다는, 자유로이 뭉치거나 흩어지면서 어떤 대기와도 같은 유동적인 공간을 만들고자 하였다.


나는 이제...

인간의 유한한 삶을 많이 바라 보았고 내려앉은 세월의 무게를 담대하게 버텨낸 ‘자연의 축적된 시간’을 담은 풍경에서 드러난 ‘선’을 나의 시선을 통해 화면으로 옮기며 그 건너편 어디에 존재하는 감각적이고 평화로운 공간을 다시 상상해 본다.


▶학력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졸업

홍익대학교 대학원 동양화과 졸업


▶개인전 

2025 Hidden M Gallery 초대전 - Beyond the Line

2024 갤러리 아련 (초대전) - 켜켜한... 풍경

2023 갤러리 초이 (초대전) - 더 먼 풍경의 시간

2022 ART SPACE KC (초대전) - 선묘풍경

2021 필 갤러리 (초대전) - 바라보다...

2021 갤러리 초이 (초대전) - 머물고... 흐르다.

2020 와우 갤러리 (초대전) - 선이 이루는 공간


▶단체전

2025 우리가 만든 봄 6인전 - 두나무아트큐브 기획

2024 돈화문 갤러리 2인전

2024 갤러리 두 2인전

2024 Hellen n Jae 2인전

2023 한지의 숨결 3인전 - 베누스 갤러리 기획

2023 Climax, 그리고 변곡점 - 갤러리 초이 기획

2023 갤러리 두 13주년 개관전


▶아트페어

2025 Hongkong Art Central

2024 Art Busan (Bexco)

2023 화랑미술제 (Coex)

2022 KIAF PLUS (Coex)

2021 Miami Scope

2020 조형아트페어 (Coex)

2019 BAMA (Bexco)

2018 SIAE 2018 (Coex)


▶수상

2003 경기미술상 (청년작가상)

1993 제3회 MBC미술대전 특선

1992 제10회 대한민국 미술대전 우수상

1991 제1회 MBC미술대전 특선


▶소장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 성곡미술관 / 안양시청 / 안양동안구 여성회관 / 아산재단 서울중앙병원 / 안양여자고등학교 / 동서신의학병원 (경희대학교 부설) / 안양시과천지부 농협중앙회 / 주 폴란드 대한민국 대사관 / 수원 지방법원 안양지원 / KMI 한국 의학 연구소 / 도레이 첨단소재 / 신세계 토건 / (주)케미코스 / (주)한국금속 등